티스토리 뷰
GDP(Gross Domestic Product)의 정의
국내총생산(GDP)은 한 국가 또는 국가에 의해 특정 기간에 생산 및 판매된 모든 최종재 및 서비스의 시장에서의 통화가치를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1년 동안 한 국가에서 생산된 제품과 서비스의 시장가치를 합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GDP는 경제 건전성을 측정하기 위해 단일 국가 정부에 의해 사용됩니다. 1980년대까지는 한 나라의 경제규모를 나타내는 지표로 국민총생산(GNP, Gross National Product)를 주로 사용했으나, 국내에 거주하는 국민에 적용할 때에는 GDP가 더 적합하다고 생각하여 지금은 GDP가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GDP의 계산 방법
계산 방법에는 생산접근법, 지출접근법, 소득접근법 이 3가지가 있습니다. 생산접근법은 해당 국가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 및 서비스의 가치를 합산하는 반면, 지출 접근법은 해당 국가 내에서 모든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한 지출 가치를 합산합니다. 소득접근법은 해당 국가 내의 개인 및 기업이 벌어들인 모든 소득을 합산합니다.
GDP는 종종 한 국가의 생활 수준을 측정하는 척도로 사용되지만 몇 가지 제한 사항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환경 품질이나 사회적 웰빙과 같은 비금전적 요소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또한 GDP는 인구 증가 및 인플레이션과 같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경제 성장의 그림을 왜곡할 수 있습니다.
한계에도 불구하고 GDP는 여전히 중요한 경제 지표입니다. 정부, 기업 및 투자자가 경제 정책, 투자 및 무역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합니다. GDP와 그 한계를 이해하면 개인이 자신의 경제적 선택에 대해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사회에서 경제의 역할을 더 폭넓게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GDP와 생활수준의 관계
생활수준과 GDP의 관계는 복잡하지만 일반적으로 1인당 GDP가 높은 국가일수록 생활 수준이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1인당 GDP는 한 국가의 총 GDP를 인구로 나눈 값을 말합니다. 즉, 인구가 많은 국가는 총 GDP는 높지만 1인당 GDP는 낮고, 작은 국가는 총 GDP는 낮지만 1인당 GDP는 높을 수 있습니다. 1인당 GDP는 한 국가 시민의 평균적인 경제적 복지에 대한 보다 정확한 그림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1인당 GDP는 종종 생활 수준의 척도로 사용되지만 몇 가지 한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환경 품질이나 사회적 웰빙과 같은 비금전적 요소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또한 1인당 GDP는 국가 내 소득 불평등 및 부의 분배와 같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그룹의 생활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생활수준과 GDP 사이에는 관계가 있지만 한 국가의 경제 및 사회적 복지를 보다 완벽하게 파악하려면 다른 요인들과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GDP의 한계와 단점
GDP의 한 가지 한계는 소득 불평등, 환경 악화 또는 사회적 복지와 같은 요소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오염 수준이 높은 국가는 생산 증가로 인해 GDP가 높을 수 있지만 이것이 반드시 시민의 복지나 경제의 지속 가능성을 반영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GDP 성장은 인구 증가 또는 재생 불가능한 자원의 소비 증가와 같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GDP 성장에만 집중하면 부정적인 사회적, 환경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GDP는 경제 활동의 유용한 척도이지만 한 국가의 경제 및 사회적 발전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그림을 제공하기 위해 웰빙 및 지속 가능성의 다른 지표와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국가별 GDP 순위 (2021년 기준)
1. 미국 - 23조 7천억 달러
2. 중국 - 16조 2천억 달러
3. 일본 - 5조 1천억 달러
4. 독일 - 4조 5천억 달러
5. 영국 - 3조 달러
6. 인도 - 2조 9천억 달러
7. 프랑스 - 2조 8천억 달러
8. 이탈리아 - 2조 2천억 달러
9. 캐나다 - 1조 8천억 달러
10. 한국 - 1조 7천억 달러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화란(Globalization) (0) | 2023.05.07 |
---|---|
경제적 불평등이란 (0) | 2023.05.05 |
핀테크란(Fintech) (0) | 2023.05.01 |
소비자물가지수란?(CPI) (0) | 2023.04.30 |
무역이란(Trade) (0) | 2023.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