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경제

인플레이션이란

직장인재테크톡 2023. 4. 20. 17:52

인플레이션의 정의

일반적으로 경제학에서의 인플레이션이란 상품과 서비스의 일반적인 가격 수준의 상승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인 가격 수준이 상승하면 통화 단위마다 상품과 서비스 구매가 감소하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구매력이 저하되며 통화가치의 하락을 가져옵니다. 

인플레이션의 반대 의미는 디플레이션이며 이것은 상품과 서비스의 일반적인 가격 수준의 저하를 뜻합니다. 

인플레이션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소비자종합물가지수입니다. 이것은 단위시간당 얼마나 변하는지가 인플레이션을 결정하는 요인이 됩니다. 

 

 

인플레이션의 역사

역사적으로 상품 통화가 사용되면 경제 상황에 따라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이 번갈아 나타나게 됩니다. 그러나 시장에 금이나 은의 대량의 장기적인 주입이 발생될 경우 이 때에는 장기적인 인플레이션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16세기 물가혁명은 라틴아메리카에서 스페인 사람들에 의해 압수되어 채굴된 금, 특히 은의 홍수로 인해 발생되었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헝가리에서는 사상 최대의 지폐 인플레이션에 이르기까지 여러가지 규모의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독립된 중앙은행을 소유한 나라에서는 인플레이션이 낮고 안정적입니다. 이로 인해서 경기순환이 둔화 되었고, 대규모 경기지표로 알려진 거시경제지표 변동이 감소되었습니다. 

18세기 이후 많은 나라가 법정 화폐를 도입함으로써 통화 공급의 대폭적인 변동이 가능해졌습니다. 통화 공급의 빠른 증가는 정치적 위기에 처한 나라들에서 여러번 일어나 하이퍼 인플레이션을 만들어냈습니다. 이것이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의 하이퍼인플레이션과 같은 극단적인 인플레이션의 예입니다. 현재는 베네수엘라의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꼽아지고 있으며 2018년 10월 기준 인플레이션율이 833,997%입니다.

 

 

인플레이션의 원인

주요원인으로는 시장에 유통되는 통화량의 공급 증가 등이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질 이론과 양 이론의 두 가지 넓은 영역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질 이론은 판매자가 통화를 수용함으로써 나중에 구매자로부터 원하는 상품과 교환할 수 있다는 기대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20세기 후반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는 인플레이션이 장기적으로 소득 증가에 대한 통화공급 증가율에 의존한다는 폭넓은 합의가 있었습니다. 양 이론이라는 입장은 장기적으로 보면 인플레이션에 대한 정확한 설명으로 해석되었습니다. 하지만 단기, 중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은 경제에서 수요와 공급의 압력에 영향을 받아 임금, 물가, 금리의 상대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 단기적인 영향이 중요해질 정도로 인플레이션이 오래 지속될 것인가 하는 문제는 통화주의자와 케인즈주의자 사이에서의 논쟁 주제입니다. 통화주의자들은 물가와 임금은 다른 요인을 일반적인 추세선상의 한계적인 행동으로 만들기에 충분한 속도로 조정할 수 있다고 말하고, 반대입장은 케인즈주의자들은 임금, 물가, 금리는 다른 환율로 조정되며 경제에서 장기적으로 충분한 실질 생산량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을 합니다.

 

 

 

 

 

인플레이션의 영향

긍정적인 영향은 중앙은행이 실질 금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보장해줌과 동시에 자금 저장 대신 디지털 화폐와 같은 자본에 대한 투자를 장려한다는 것, 그리고 디플레이션에 따른 비효율성 회피 등이 있습니다.

또한 노동시장을 조정합니다. 노동시장의 장기적인 불균형과 높은 실업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돈을 저축하는 것에 대한 기회비용이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미래의 인플레이션 증가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투자나 저축을 저하시킬수 있습니다. 그리고 인플레이션이 높아지게 되면 물가상승에 대비하여 소비자들이 생필품을 사재기 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물건이 부족해지는 이른바 품귀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사회적 불안과 반란을 일으켜 대규모 시위나 혁명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들이 있기에 경제학자들은 인플레이션이 낮고 안정적인 것을 지지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침체란(Economic Stagnation)  (0) 2023.04.24
환율이란  (0) 2023.04.21
이자율이란  (0) 2023.04.19
주식이란  (2) 2023.04.18
돈이란  (0) 2023.04.17